Very Ambiguous Entity (2023) | sound sculptures, video, book
“Very Ambiguous Entity” is the name of an imaginary species and the direct translation of its scientific nomenclature, “Perobscuromonas”. This imaginary species is created based on seven human organoids and the artist’s genome. The imaginary species gains life in the real world through sculptures like its bodily remains (“Inevitable Whispers”), a video capturing its spirits (“Deja Vu”), and a book documenting its past through photos and writings (“Lost Memories”).
photo credit: Jipil Jeong
Book Design: Ju Eun Lee
Basic 3D modeling of virtual objects: Junseong Yeon
Basic engineering for data processing: Sungjae Nah
Production support: Daejeon Cultural Foundation, South Korea
Research collaboration: Dr. Hyun-soo Cho,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South Korea
아주 모호한 개체 (2023) | 소리조각 시리즈, 영상, 책
“아주 모호한 개체”는 상상의 종의 이름이자 학명(Perobscuromonas)의 뜻을 직역한 것이다. 이 상상의 종은 7가지 인간 신체기관(뇌, 피부, 대장, 소장, 간, 위, 폐)의 장기유사체(organoid)와 작가의 유전체(genome)를 소재로 삼아 창작되었다. 상상의 종은 그들의 신체적 유해와 같은 조각(“불가피한 속삭임들”), 그들의 과거에 대한 기록을 글과 사진으로 담은 책(“잃어버린 기억들”), 그리고 실시간으로 포착된 그들의 영혼을 담은 영상(“데자뷰”)을 통해 현실 속의 삶을 부여 받는다.
사진: 정지필
북 디자인: 이주은
가상개체 기초 3D모델링: 연준성
데이터처리 기초 엔지니어링: 나성재
제작지원: 대전문화재단, 대전, 한국
연구협력: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조현수 박사님), 대전, 한국